메인넷은 이더리움만 쓰는가?
→ 많은 개발자들이 직접 개발한 자료와 시행착오 데이터가 있는 이더리움을 사용하는 것이 우리가 개발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이다. 그래서 이더리움을 쓸 것이다.
전반적인 Layer 2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
→ 분산시스템을 바탕으로 진행할 것이며, 사용 언어는 golang이 될 것이다.
사용 과정에서 컨트랙트는 어디에 담기는 것인가
→ 트랜잭션 구조 참고
컨트랙트의 수정은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
→ 탈중앙화를 추구할 지 중앙화를 추구할 지는 우리가 정책처럼 정해야하는데, 우선 중앙화
PoS는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
→ PoS의 조건이나 상세한 정책들은 우리가 세세하게 정해야 한다.
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는 컨트랙트가 어디에 담기나
→ EVM에 Smart Contract의 Bytecode 형태로 담긴다.
합의 알고리즘이 어떻게 반영되나
→ 그것도 개발 전에 정해야하는 요소 중 하나인데, 비잔티움 장군 알고리즘과 같은 실제 사용중인 알고리즘을 개량해도 된다.
go 분산시스템에서 cli와 db 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
→ golang으로 cli를 구현해보고, 관리가 가능한 지 확인해야 한다.
2023.01.11 18:01 모각소 시작
회의록
2023.01.11 21:11 모각소 종료